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경기 여주) 하늘에서 내려온 말, 바위가 되다

설화 속으로, 떠나는 여행

by 김까롱이_ 2025. 6. 26. 00:00

본문

🐎 여주의 마암바위, 황마와 여마의 전설

강을 건넌 말 두 마리, 바위가 된 사연

🗨️ “야, 너 혹시 여주에 ‘말 바위’ 있다는 얘기 들어봤어?”
갑자기 분위기 전설인데... 이 얘기 진짜 영화 같아.

옛날 옛적 여강(남한강) 근처 마을에서 실제로 벌어졌다고 전해지는 이야기 하나.
노란 말과 검은 말이 사람을 태우고 강을 건넜다?
게다가 그 말이 바위가 되었다고??

 

믿기 힘들지만, 지금도 그 바위는 여주에 있어.
오늘은 바로 그 전설, 같이 들어보자!

 

 

 

 

경기 여주) 하늘에서 내려온 말, 바위가 되다
경기 여주) 하늘에서 내려온 말, 바위가 되다

 

 

1️⃣ 시작은 한 어부의 착한 마음

옛날 여강가에서 한 어부가 낚시를 하다가 어디선가 막 도망쳐 오던 아리따운 여인을 발견했대.
쫓기고 있는 듯했지만, 자세한 사정은 묻지 않고 일단 도와줬지.

그녀를 자기 배에 태워 건네주자, 갑자기 하늘이 심상치 않더니 뭔가 반짝이는 두 줄기 빛이 쏟아지더니…

 

 

2️⃣ 하늘에서 내려온 두 마리 말?

놀랍게도, 하늘에서 **노란 말(황마)**과 **검은 말(여마)**이 내려왔대.
그리고 어부와 여인을 등에 태워 순식간에 강을 건넜다고 해.
말 그대로 순간이동급 강 건너기ㅋㅋ

그 뒤에 어부가 주변을 둘러봤더니, 말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거대한 바위 두 개가 남아 있었대.
🗨️ “어라…? 이거 혹시 그 말...?”

 

 

출처 : 위키 백과
출처 : 위키 백과

 

 

 

3️⃣ 말 → 바위 = 마암(馬巖)

그래서 생겨난 지명이 바로 마암(馬巖).
말 馬 + 바위 巖 = 말 바위라는 뜻이야.

그리고 마암이 있던 이 지역의 옛 지명도 황려(黃驪)라고 했는데, 이건 각각 노란 말(黃馬)과 검은 말(驪馬)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는 말이 있어!

지명도 전설 따라 생긴 거면 진짜 레전드지?

 

 

 

 

4️⃣ 왜 이런 전설이 생겼을까?

사실 이 전설은 단순한 "신기한 이야기" 그 이상일 수 있어.
옛날엔 강을 안전하게 건너는 게 생명과 직결된 일이었거든.
그만큼 강을 건넌다는 건 큰 의미였고,
그걸 신의 도움, 하늘의 말로 표현한 게 아닐까?

게다가 이 여인을 하늘의 존재 혹은 신령으로 해석하기도 해.
어부가 선행을 베푼 보상으로 하늘에서 도와준 거라는 거지.

 

 

5️⃣ 방문 팁

  • 위치: 여주시 상동, 영월루 공원 인근 강변 벼랑 아래
  • 지정: 2012년 여주시 향토유적 제20호로 지정됨
  • 특징: 여주팔경 중 제2경, 고려 시대 시인묵객들의 문학 활동 무대였음

 

 

 

🔚 오늘의 핵심

  1. 여강에서 여인을 구한 어부에게 노란 말과 검은 말이 나타나 강을 건너줬다는 전설!
  2. 두 마리 말은 바위가 되었고, 그 자리가 ‘마암(馬巖)’으로 불리게 됨.
  3. 지역 이름 ‘황려(黃驪)’도 이 전설에서 비롯됐다는 이야기가 있어.
  4. 낮은 강가 벼랑 아래에 자리 잡은 큰 화강암 바위로, 마치 말의 형상을 연상시키는 기암이 있어.
  5. 바위 밑 암혈(작은 동굴)이 있는 구조라, 여흥민씨 시조 전설과 연결된 장소야.
  6. 평평한 바위 면에는 **‘馬巖’**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고, 위에는 이인응, 옆엔 신현태 등 옛 관원들의 이름도 남아 있어.
  7. 남한강 건너편에서 바라본 모습과 강변에서 접한 절벽 위 장면 모두 자연미와 전설 분위기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경관이야.

관련글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