🗨️ “그거 알지? 수박에 소금 뿌리면 더 달대~”
🗨️ “원래 그 브랜드 다 그래. 내 경험이야.”
🗨️ “이건 무조건이지. 다들 알잖아~”
이런 말, 어디서 한 번쯤은 들어봤지?
심지어 듣고 나면 왠지 납득되고, 어디 가서 또 얘기하게 돼.
근데 그 말에 논리적 근거나 출처는… 없었음ㅋㅋ
오늘은 그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바로 그 말, ‘뇌피셜’의 설득력을 뇌의 정보 처리 구조 + 심리학 + 사회적 작용으로 풀어볼게!
우리 뇌는 정보를 판단할 때
✔ “사실인가?”보다
✔ “기억에 얼마나 오래 남는가?”를 먼저 따져.
특히 확신에 찬 말투나 감정을 동반한 전달은 진짜인지 아닌지를 따지기도 전에 '기억의 핵심'으로 저장됨.
예: 🗨️ “이건 진짜 다 그런 거야. 나도 직접 겪었거든!”
→ 근거는 없음 → 근데 감정이 실림 → → → 더 신뢰감 + 뇌에 저장됨
💡 과학적으로는?
이걸 '감정 우선 처리'라고 해.
감정을 먼저 태깅해서 기억이 강화되는 구조!
즉, 강한 뇌피셜 = 감정 태그된 정보 = 기억력 ↑ 설득력 ↑
사실 우리는 하루에도 수백 개의 정보에 노출돼.
근데 그걸 전부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까?
👎 No way~ 뇌는 바쁘고 귀찮아해.
그래서 "빠르고 강한 말"에 쉽게 설득돼버림.
심리학 용어로는?
→ 인지적 구두쇠(cognitive miser)
→ 생각 많이 하기 싫어하는 뇌의 절약 습관
📌 “이게 맞지~ 당연한 거잖아~”라는 뉘앙스만 줘도 “그런가 보다” 모드로 바로 넘어감.
근거? 논리? 출처? → 다 뒤로 밀려남.
유튜브, 틱톡, 트위터, 인스타 릴스…
요즘 콘텐츠에서 가장 설득력 있어 보이는 말투 특징은?
👉 “단정적인 말투 + 짧고 강한 문장 + 높은 감정 이입”
🗨️ “이건 ㄹㅇ임. 써보면 알게 돼.”
🗨️ “그건 다 가짜고, 진짜는 이거야.”
🗨️ “내가 해봤으니까 말하는 거야.”
이런 말이 진짜처럼 느껴지는 이유?
📌 뇌는 '확신에 찬 말 = 경험 기반 → 진실'로 착각하기 때문.
게다가, 단정적인 문장은 뇌에게 "검토할 여지를 줄이지 않는 구조"라서 오히려 더 쉽게 믿게 되는 구조로 연결돼.
특히 친근하거나 신뢰하는 사람이
🗨️ “야, 이건 진짜야. 나만 믿어봐.”
라고 하면?
❗ 우리가 자동으로 발동하는 심리 작용 → 인지적 정체성 동조 → 상대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그 의견을 받아들이는 성향
📌 인플루언서 뇌피셜 =
→ “믿고 보는 언니의 추천템”
→ “팔로워 수=신뢰도” 착각 유도
→ 결국 논리보다 관계 기반의 신뢰가 작용하게 됨
뇌는 의외로 ‘팩트’보다 감정과 확신에 훨씬 더 쉽게 끌려.
그래서 ‘근거 없는 말’인데도
📌 감정이 실리고
📌 어조가 강하고
📌 단정적으로 말하면
우리 뇌는 "오케이~ 믿었어!" 하고 저장해버리는 거야ㅋㅋ
그러니까 누가
🗨️ “그건 원래 다 그래~”
🗨️ “이건 말이야… 내 뇌피셜인데~”
이렇게 말하면?
한 번쯤 속으로만 생각해보자.
🗨️ “혹시 지금 내 뇌가 당한 거 아냐?” 👀
💤 꿈에서 하루 여행 다녀온 느낌? (0) | 2025.07.01 |
---|---|
사진에 찍힌 하얀 형체...광학적??? vs 귀신??? (0) | 2025.07.01 |
비 오는 날 전 생각나는 이유, 뇌가 시켰다! (0) | 2025.06.25 |
틱톡, 초콜릿, 쇼핑… 나도 도파민 중독일까? (0) | 2025.06.21 |
실연 후 치킨 찾는 이유, 진짜 과학입니다. (0) | 2025.06.21 |